반응형 최저임금5 2025년 근로기준법 주요 개정 내용 (ft. 최저임금과 육아 관련) ≣ 목차 2025년 근로기준법 개정은 일과 가정의 균형을 강화하고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변화를 담고 있습니다.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최저임금 인상 1) 최저임금 인상 비교구분2024년2025년증가액시간급9,860원10,030원170원월 급여 (209시간 기준)2,060,740원2,096,270원35,530원일급 (8시간 기준)78,880원80,240원1,360원 2) 적용 대상 및 시기시행일 : 2025년 1월 1일적용 대상 : 모든 사업장 (근로자 1인 이상)적용 분야 : 모든 업종 2. 육아휴직급여 개편 내용 1) 육아휴직급여 지원 체계휴직 기간지원 금액산정 기준1~3개월최대 250만 원통상임금 100%4~6개월최대 200만 원통상임금 100%7개월 이후.. 2024. 12. 29. 최저임금 1만2천원, 25% 인상 노총은 내년 최저시급을 올해보다 2380원 오른 1만 2천 원을 요구했다. 월급 기준으로 250만 8천에 해당한다. 결국 실질임금 하락과 공공요금 인상 등을 감안해 최저임금 요구안을 결정했다고 노총은 말했다.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난방비 40%, 전기요금 20%, 수돗물값 71%, 대중교통 요금은 30% 이상 올랐다"라고 말했다. "특히 물가 폭등은 저임금 노동자에게 더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며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 물가 폭등 속 저임금 노동자 생계비 확보를 위해 내년에 적용될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을 요구한다"라고 밝혔다. 모텔·식당 30%, 지금도 최저임금 못 줄 지경 최저임금조차 제대로 못 주는 영세 기업·자영업자가 많은 상황에서 무리한 최저임금 인상은 경제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영.. 2023. 4. 4. 고물가 때문에 월급이 줄었다. 2023년 고물가 행진 속에 노동자 1인당 실질임금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올해 1월 노동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물가 수준을 반영한 실질임금도 10개월 연속 줄었다.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1월 기준 사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은 469만 4천 원으로 작년 동월(472만 2천 원) 대비 2만 8천 원(0.6%) 하락했다. (과연 469만4천원이 월평균 임금일까?) 국민 삶의 질 2022보고서 2021년 임금 근로자의 소비자 물가지수를 고려한 월평균임금은 319만 1천 원이며, 총 근로시간은 164.2시간이었다. 2021년 정규직은 349만 5천 원, 비정규직은 168만 1천.. 2023. 4. 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