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판례] 인공관절 수술 후 발생한 후유증, 의료진의 과실일까요?

by 제곱법칙 2024. 7. 24.
728x90

오늘은 최근 있었던 인공관절 수술 관련 의료과실 소송 사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사례는 의료진의 과실과 환자의 후유증 사이의 인과관계 입증이 얼마나 복잡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1. 사건 개요

 

환자 A씨는 B병원에서 우측 고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수술 직후부터 우측 좌골신경 손상으로 인한 우측 족하수 등의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A씨는 이를 의료진 과실로 인한 후유증이라 주장하며, 위자료 2,500만원을 포함한 총 1 5,775 7,848원의 손해배상금과 지연 이자 지급을 요구하였습니다.

 

2. 법원 판결

 

서울중앙지방법원은 환자 A씨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였습니다. 법원은 의료진 과실로 후유증이 생겼다는 주장을 입증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우측 하지 좌골신경이 수술 과정에서 손상되었고, 이 때문에 후유증이 발생했더라도 "곧바로 의료진 과실이 있다고 추단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습니다.

3. 법원 판단의 근거

 

법원은 "의료과실 외 다른 원인으로 증상이 발생했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증명되면 의료과실이 원인이라고 추정할 수도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의사 과실이라고 추정할 정도로 개연성이 담보되지 않았는데도 막연하게 의사 과실과 중대한 결과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본다면 결과적으로 의사에게 무과실 증명 책임을 지우게 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4. 후유증에 대한 판단

 

법원은 A씨가 겪고 있는 후유증이 고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충분히 발생 가능한 증상"이라고 지적하였습니다. 또한, "이런 후유증은 의료과실이 없어도 영구장해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환자에게 후유증이 생겼다거나 그 증상이 영구적이라는 사정만으로 곧장 병원 의료진에게 의료 과실이 있다고 추단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5. 관련 판례

 

이와 유사한 사례로는 고관절 인공물 제거 수술 후 신경 손상으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이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도 환자는 의료진의 과실로 인해 신경 손상을 입었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하였으나, 법원은 의료진의 진료상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아 신경 손상 등을 야기했다며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하였습니다.

 

6. 결론

 

이 사건은 의료진의 과실과 환자의 후유증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특히,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후유증이 있는 경우, 이를 의료진의 과실로 단정짓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판례는 의료 분야에서의 손해배상 청구에 있어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판례는 의료 소송을 준비하는 환자와 변호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의료진에게는 진료 시 주의 의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마비의 영구장해 "손해배상"

 

하지마비의 영구장해 "손해배상"

요지 : 의사의 환자에 대한 진료상 주의의무의 내용 및 진단상의 과실 유무의 판단기준 의사가 진찰·치료 등의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을 관리하는 업무의 성질에 비추어

cls0313.tistory.com

척추측만증 수술 후 하반신 마비 손해배상 청구 건

 

[판례] 척추측만증 수술 후 하반신 마비 손해배상 청구 건

2020나2049127 손해배상(의) [제17-2민사부 2022. 9. 29. 선고] □ 사안 개요 척추측만증 수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 후 척수손상에 의한 하반신 마비, 신경인성 방광 및 신경인성 통증 등의 증상이 있어 위

cls0313.tistory.com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후 후유장애 관련 판례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후 후유장애 관련 판례

척수병증이란? 척수병증은 척수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뇌로부터 신경 신호를 전달하고 신체 각 부위를 조절하는 척수 기능에 손상을 입히고, 운동, 감각, 자율신경 기능 장애 등을 유발합니다.

cls0313.tistory.com

미성년자 환자에게 설명 안해도 괜찮을까?

 

미성년자 환자에게 설명 안해도 괜찮을까?

[대법원 판결] 의사가 미성년자인 환자의 친권자나 법정대리인에게 의료행위에 대해 설명했다면 그 설명이 친권자나 법정대리인을 통해 미성년자인 환자에게 전달됨으로써 의사는 미성년자인

cls0313.tistory.com

 [판례] 응급실 흉통 환자 대동맥박리 진단 못해 실형 선고

 

[판례] 응급실 흉통 환자 대동맥박리 진단 못해 실형 선고

2014년 9월, 한 응급실에서 흉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습니다. 그러나 이 환자는 대동맥박리로 진단되지 못하고 급성 위염으로 오진되었습니다. 이후 환자는 대동맥박리로 인한 뇌경색을 겪

cls0313.tistory.com

 

728x90